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차성 녹내장의 원인 질환과 치료 알고리즘

by 아이헬스 2025. 4. 26.

이차성 녹내장은 다양한 안과적 혹은 전신적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녹내장의 한 형태로, 원발성 녹내장과 달리 명확한 원인 질환이 존재합니다. 안압 상승으로 인한 시신경 손상이 주된 병리 기전이며, 원인 질환에 따라 임상 양상과 치료 전략이 다르게 전개됩니다. 이를 간과하거나 원인 치료 없이 단순히 안압만 조절하려 한다면 질환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차성 녹내장의 정확한 감별 진단과 병태생리에 기반한 치료 접근이 매우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대표적인 이차성 녹내장의 원인 질환들과 이들에 따른 치료 알고리즘을 포괄적으로 정리해 눈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염증성 질환과 이차성 녹내장

포도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은 이차성 녹내장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염증에 의해 전방유출로가 막히거나, 염증세포와 단백질이 섬유주를 차단함으로써 안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급성 포도막염에서는 안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수 있으나, 만성화되거나 재발하는 경우 안압 상승이 지속되어 시신경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염증성 녹내장의 치료는 염증 조절과 안압 조절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국소 스테로이드 점안제를 통해 염증을 억제하고, 동시에 베타차단제, 알파작용제, 탄산탈수효소억제제 등의 안압강하제를 병용합니다. 스테로이드 사용이 오히려 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을 주의해야 하며, 필요 시 면역억제제나 생물학적 제제를 도입해 염증을 장기적으로 억제해야 합니다. 염증 조절이 선행되어야 필터링 수술 등의 외과적 접근이 가능해집니다.

신생혈관 녹내장의 병태생리와 접근 전략

신생혈관 녹내장은 당뇨망막병증, 중심망막정맥폐쇄, 망막박리 등 허혈성 망막질환의 말기에 발생하는 중증 이차성 녹내장입니다. 망막 허혈에 반응하여 혈관내피성장인자(VEGF)가 과다 분비되고, 이로 인해 홍채와 섬유주에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자라나면서 전방유출로를 폐쇄합니다. 이 상태가 진행되면 안압이 급격히 상승하고, 통증을 동반한 실명 위험이 커지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우선적으로 안구내 항-VEGF 주사를 시행해 신생혈관의 퇴화를 유도하고, 범망막광응고술(PRP)을 통해 망막 허혈 부위를 치료합니다. 안압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 사이클로광응고술이나 인공방수유출 장치 삽입 등의 수술적 방법을 고려합니다. 초기부터 내과적 질환 관리와 연계하여 망막 허혈을 조절하는 것이 예후 개선의 핵심입니다.

외상 및 수술 후 발생하는 이차성 녹내장

외상이나 백내장 수술, 유리체절제술 등 안과 수술 이후에도 이차성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녹내장은 전방각의 손상이나 혈액잔류, 홍채 유착 등으로 인한 방수유출 장애로 인해 안압이 상승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술 후 녹내장은 특히 인공수정체 삽입술 후 염증, 유리체 탈출, 후낭잔여물 등에 의한 기계적 폐쇄가 원인이 됩니다. 치료는 원인 제거와 안압 조절을 병행해야 하며, 일시적인 경우 약물치료로 조절이 가능하지만 장기적인 경우 섬유주절제술이나 관 삽입술 등 수술적 접근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외상 후 발생한 각막혈증이나 전방각 폐쇄가 심한 경우에는 방수유출 경로를 재구성하는 복합적 치료가 요구됩니다. 병력 청취와 전안부 영상검사, 전방각경검사를 통해 병인을 명확히 파악하는 것이 치료 성공의 관건입니다.

약물 유발 녹내장의 위험성과 예방

스테로이드 유도 녹내장은 약물 유발 녹내장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 경구용, 점안용, 주사제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섬유주의 세포외기질을 변화시키고 방수 유출을 저해하여 안압을 상승시키며, 특히 기존에 녹내장 소인이 있는 환자에서 위험이 큽니다. 안압 상승은 서서히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안압 측정과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치료는 스테로이드 중단 혹은 대체제 사용, 안압강하제 투여가 기본이며, 고위험군에서는 스테로이드 대신 비스테로이드 소염제를 고려합니다. 이 외에도 항우울제, 항히스타민제, 항암제 등도 유사한 기전을 통해 안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어, 약물 복용력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스테로이드 유발 녹내장은 예방 가능성이 높은 녹내장이므로, 위험군 환자에 대한 사전 평가와 치료 계획 수립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차성 녹내장 치료 알고리즘의 실제 적용

이차성 녹내장의 치료는 원인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초기 진단 단계에서는 전신 병력, 약물 복용 이력, 안과적 병력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며, 전안부 생체현미경검사, 전방각경검사, 안압 측정, 시신경 평가, 시야검사, 안저검사 등을 종합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치료는 안압 조절과 함께 원인 질환의 병태생리 조절이 동시 진행되어야 하며,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수술적 치료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특히 신생혈관 녹내장이나 만성 염증성 녹내장처럼 예후가 불량한 경우 조기 수술이 예후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유출관 삽입술, 최소침습 녹내장 수술(MIGS), 사이클로레이저 응고술 등 다양한 수술 기법이 발달하여 치료 선택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치료 알고리즘은 개별 환자의 상태와 질환 경과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하며, 안과 전문의의 다각적 판단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차성 녹내장은 단순한 안압 상승이 아니라 다양한 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질병입니다. 각각의 원인 질환에 대한 이해와 맞춤형 치료 전략이 동반되어야만 시신경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력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감별 진단의 정확성과 병태생리적 접근이 치료 성패를 좌우하며, 최신 치료 알고리즘을 적절히 적용하는 것이 임상적 성과로 이어집니다. 녹내장은 조기 발견과 지속적인 관리가 중요한 만큼, 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전문가의 진료를 통해 이차성 녹내장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